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합인포맥스] 강영현 이사 주가와 Recession 2023년 경기침체 전망(23년 1월 17일 방송)
    주식 정보 전망 2023. 1. 26. 11:10
    반응형

    23년 1월 17일 방송된 연합인포맥스 강영현 이사 출연 방송 내용 (주가와 2023년 경기침체  신호 Recession 전망) 정리했습니다. 

    ※ 글로 표현하면서 개인의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니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유튜브 링크는 페이지 하단에 있습니다.

     


    멀티플, EPS 추정치, 미국 해외투자 동향, Financial Condition, 경기침체확률, 장단기 금리차 역전, 정책변경과 시차, 원자재재고, 임금상승률, 집값과 월세상승률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어떤 경제정책을 취할 때 2023년 경기침체가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주셨습니다.

    [ 멀티플 ]

    지금 10년 평균까지 내려왔습니다.

    15% 더 감소해서 2018년 긴축때 14배 정도까지는 내려가야 됩니다.


    [ EPS 추정치 상황 ]

    EPS 추정치를 하향했습니다.

    실적 발표때 추정치랑 비슷하거나 조금이라도 좋게 나오면 긍정적으로 보고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미국 해외 투자 동향 ]

    마지막 막대기 -5 아래로 내려온 건 : 미국에서 유럽, 중국 등 해외 투자가 늘어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Financial Condition ]

    하얀색이 financial condition 추세적으로 우상향하는건 연준이 긴축정책을 함을 의미합니다.

    financial condition이 내려오는 구간 = S&P 지수 정확하게 바닥을 잡습니다.

    S&P 지수 너무 빠지니까 조금씩 긴축을 완화함을 의미합니다.

    금리는 올리고 있었지만 금리 외 다른 변수들이 사실상 완화로 돌아서고 있었습니다.

    연준이 살짝 완화를 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런 정책으로 끌어올린게 실물경제에 스며들고 흡수돼서 결과가 나오는 기간이 남았습니다. 

    그 기간을 잘 참아내고 넘어가야 합니다.


    [ 경기 침체 확률 ]

    Recession 확률

     

     

    [ 장단기 금리차 역전 ]

     

    2년과 10년, 3개월과 10년, 1개월과 10년, 5년과 10년... 를 100%이라고 봤을 때 80%가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됐습니다.

    금융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이 20% 정도 남았다는 뜻입니다. 

    서서히 풀리기 시작했을때 경기침체가 옵니다. 지금은 오는 게 아닙니다. 나중에 옵니다.


    [ 장단기 금리차와 대출변화 ]

    Recession 신호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 된 다음에 빨간색 화살표를 보십시오.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 된 후 정상화 되는 과정에서 경기침체가 나타납니다.

    연준이 경기침체 온다고 느끼고 금리를 빨리 낮추게 되면 대출이 풀려야 되는데, 그래프를 보면 대출(파란색)은 금리를 올릴 때 더 풀립니다. 정상화되면 역마진이 나고 대출을 안하기 시작합니다.

    결론) 금리인하 시기에 본격적인 경기침체가 오기 시작합니다.

     


    [ 정책 변경과 시차 ]

    옅은선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선입니다.

    ISM제조업 지표가 60에서 쭉쭉 내려갑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린 후 시차를 두고 ISM 제조업 지표가 내려옵니다.

    지금은 50 밑으로 내려와 있으니까 생산 쪽에서 경기침체가 나오기 시작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1년 정도 지속됩니다.

    ISM제조업 지표 돌린다 => 지수가 올라간다고 하면 비중을 줄이고 기다려야 합니다.

    또 내려갈 거니까요.

     

    빨간색 화살표 보시면 예전에는 ISM 제조업지표가 빨간선에 닿으면 연준이 금리를 다 내렸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올렸습니다. 

    이유는 원자재 재고 수준이 낮고, 여기서 돈을 풀면 원자재 가격이 다시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임금상승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여기서 돈을 풀면 다시 올라가고 내려오지 않습니다.

     

    순서대로 : 상품, 부동산, 서비스

    부동산, 주거비는 내려가지 않습니다.


     

    [ 집값, 월세 상승률 비교 ]

    렌트 100 오르는 것에 대한 집값이 오르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미국은 40 더 올랐습니다=렌터보다 집값이 훨씬 많이 올랐습니다.

    집값이 내리고 나서 다시 유동성을 공급했을 때 이런 물가 자극 요소들이 다시 인플레이션을 자극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완화책으로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긴축을 중단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지 다시 돈을 풀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Recession 대비

     

    경기침체를 생산과 소비와 고용시장으로 봤을 때 고용시장은 아직 멀었습니다.

    고용시장은 경기침체 신호가 나오려면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6개월 돼도 안 나옵니다.

    경기침체 신호가 전부 나오기 전까지는 상승으로 풀배팅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빠져도 천천히 느리게 빠지므로 지수로는 수익을 많이 못 낼 거 같습니다.

    반등이 왔다 갔다 할 것이므로 인버스 배팅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종목은 많이 빠질 때 잘만 매수하면 20~30%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ETF는 상승으로 보고 매매하는 것도 있습니다.

    그런데 FOMC도 다가오고 실적시즌 발표가 잘 나오면 1~2분기 정도는 버틸 수도 있으니, 기회가 있을 겁니다.

    주의할 점은 아직 매크로 이슈가 남아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경기침체가 확률이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연합인포맥스 23년 1월 17일에 방송된 강영현 이사님 방송내용 중 일부를 나름대로 정리한 내용으로 혹시 본 글에 오류가 있더라도 책임지지 않으니 정확한 내용은 유튜브 영상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모든 이미지 출처 : 연합인포맥스 유튜브 방송)


    ▼23년 1월 17일 연합뉴스경제 TV 인포맥스라이브 유진투자증권 강영현 이사 주가와 경기침체

    https://youtu.be/4Nd1Mz9-yhY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